본문 바로가기
JS 이야기/Open AI

대구 북구 함지산 산불, 강풍에 확산…주민 1200명 대피·진화율 15%

by JS JEON 2025. 4. 28.
반응형

 

안녕하세요, JS입니다.

 

2025년 4월 28일 오후, 대구 북구 함지산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강풍을 탄 채 급속히 확산하면서 지역 사회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이번 산불로 인근 주민 1,200여 명이 대피했으며, 진화 작업이 밤새 진행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 요약]

  • 발생 일시: 2025년 4월 28일 오후 2시 1분
  • 위치: 대구 북구 노곡동 함지산 일대
  • 피해 규모: 산불 영향 구역 92㏊, 화선 길이 6.5km
  • 인명 피해: 없음 (주민 1,216명 사전 대피)
  • 진화 현황: 헬기 29대, 인력 704명 투입, 진화율 15% (오후 6시 기준)
  • 특이 사항: 경부고속도로 북대구IC 차단, 도심까지 연기 확산

1. 산불 발생 및 확산 경과

오후 2시 1분께 대구 북구 노곡동 함지산에서 불이 발생했습니다.
초속 11m의 강풍을 탄 불길은 순식간에 민가 방향으로 확산했으며,

  • 오후 3시 10분: 산불 대응 1단계 발령
  • 오후 3시 40분: 대응 2단계로 상향
  • 오후 6시: 대응 최고 단계인 3단계 발령
    산림당국은 "화재 예상 면적 100㏊ 이상, 진화 시간 48시간 이상 예상"을 이유로 3단계를 결정했습니다.

2. 주민 대피 및 안전 조치

  • 대피 인원: 899가구 1,216명 (팔달초등학교, 매천초등학교, 동변중학교로 이동)
  • 통제 구역:
    • 노곡교, 조야교, 무태교, 산격대교 통행 금지
    • 경부고속도로 북대구IC 양방향 차단
  • 재난 문자:
    • 오후 2시 56분: "조야동·노곡동 주민 즉시 대피"
    • 오후 3시 10분: "서변동 주민 대피 준비"

3. 진화 작업의 어려움과 진행 상황

  • 기상 악조건: 평균 풍속 5.5m/s, 순간 최대 15m/s의 강풍
  • 투입 장비:
    • 헬기 29대 (산림청 17대, 소방 4대, 군 2대 등)
    • 진화차량 57대, 인력 704명
  • 진화율: 오후 6시 기준 15% (화선 6.5km 중 0.9km 진화 완료)
  • 특별 대응: 민가 주변 방화선 구축, 야간 진화 장비 추가 투입

4. 산불의 지역 영향

  • 연기 확산: 대구 도심(중구 동인동 등)에서도 연기 관측, 시민 불안 가중
  • 교통 마비: 북대구IC 차단으로 경부고속도로 우회 차량 증가
  • 경제 피해: 인근 공장·농가 약 50여 곳 긴급 작업 중단

5. 전문가 분석: 도심형 산불의 위험성

이번 산불은 "도시와 인접한 산악 지역"에서 발생해 빠른 확산이 이루어진 산불입니다.

  • 원인 추정: 건조한 날씨 + 강풍 + 산림 인접 주거 밀집지역
  • 향후 전망:
    • 진화 완료 예상 시점: 4월 30일 오전
    • 2차 피해 가능성: 미세먼지 증가, 주택 화재 잔불 점검 필요

6. 시민 행동 요령 및 예방 수칙

  • 산불 발견 시: 119 또는 산림청(1588-4119) 신고
  • 대피 요청 시: 신속히 지정된 대피소 이동 (반대 방향, 낮은 자세로)
  • 예방 수칙:
    • 산림 인근 화기 사용 금지
    • 쓰레기 소각 절대 금지
    • 등산 시 라이터·성냥 휴대 자제

공동체의 협력이 위기를 넘긴다

대구 함지산 산불은 자연 재난이 도시와 어떻게 직결되는지 보여준 사건입니다.
신속한 대피와 진화 작업 덕분에 인명 피해는 막았으나, 기후 위기 시대에 맞서기 위해선 산림 관리 강화시민 참여형 방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이번 사태를 교훈 삼아 모두가 산불 예방에 적극 동참해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