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S 이야기/Open AI

K-방산 3사, 안티드론 체계에 주목하는 진짜 이유

by JS JEON 2025. 7. 16.
반응형

 

안녕하세요, JS입니다.


2025년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화두인 ‘안티드론(anti-drone) 체계’ 경쟁에 앞장서고 있는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현대로템이 이 분야에 집중하는 이유와 그 전략적 의미를 심층 분석합니다.
드론의 위협이 새로운 전장의 구도와 국가안보 패러다임을 바꾸는 가운데, 국내 3대 방산기업의 대응과 글로벌 시장 트렌드를 정리합니다.

 

1. K-방산의 초집중 키워드, ‘안티드론’

  • 안티드론 체계: 적 드론(무인기) 탐지·식별·무력화하는 방어 시스템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분쟁 등에서 소형·군집 드론의 파괴적 위력 입증
  • 국방부, 방위사업청 ‘드론봇 정찰·공격체계’ 전략 기반
  •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현대로템 국내 3강 구도…기술·사업화·수출경쟁 본격화

2. 주요 내용 요약

  • 한화시스템: 레이저 기반 안티드론, 통합 지휘체계·AI 연계 ‘토탈 솔루션’ 사업화
  • LIG넥스원: 레이더-전자광학(EO) 복합 탐지+전자파 재머(Jammer)로 드론 무력화
  • 현대로템: 무인전투차량-안티드론 결합, 감시/차단 시스템 패키지로 확장
  • 2025년 기준 국방부 안티드론 연구개발 예산 약 4,000억원, 2027년 국군 실전배치 목표
  • UAE·사우디·폴란드 등 해외 시장, NATO표준 맞춤형 개발로 진출 전략

3. 전문 방산 3사, 왜 ‘안티드론’에 사활을 거나?

1) 무인기 위협의 실전적 부상

  • 우크라이나 전쟁: 드론 자폭, 장거리 정찰, 전파 교란까지 '1억 원 예산으로 10억 장비 파괴' 사례 속출
  • 중동 아람코 피습(2019): 상용 드론이 최소 50억 불 정유시설 파괴
  • 전통적 방공망(레이더, 요격 미사일)으로는 탐지/차단 한계
  • 소형·군집드론: 저고도·저속·저피탐 특성 → 레이더·레이저 등 신기술 요구

2) 세계 방산 시장, ‘포스트 미사일’ 시대 진입

  • 미국, 이스라엘, 중국 등 글로벌 방산 강국이 안티드론 무기 선점 중
  • 글로벌 안티드론 시장 연평균 25~30% 고성장(2024~2030년, 최대 15조 원)
  • 국내 시장: 기초기술 단계 탈피, 실전배치·수출경쟁 본격화 필요

3) 국방부·방위사업청 ‘드론 전력화’ 전략과 연계

  • '드론봇 전투단' 창설·드론 정찰·타격 부대 편성 추진
  • 북한, 러시아 등 비대칭전력(드론, 로봇) 강화에 대응한 선제 투자가 불가피

4) 기술 융합: AI·ICT·레이저·소프트킬·하드킬 통합

  • 전자파 교란(소프트킬), 레이저 요격(하드킬), AI로 위협 등급 판단, 실시간 대응
  • 탐지-식별-차단-피해복구 등 이어지는 ‘토탈 방어 루프’ 구축
  • 무인차량, 감시로봇 등 기존 무기 플랫폼과 결합해 방어 효율 증대

4. 기업별 전략과 특징

한화시스템

  • 광학·레이저 복합 안티드론: 드론 탐지+초고출력 레이저(5kW 이상)로 즉각 무력화
  • AI 지휘체계: 위협도 평가, 최적 무력화 방식 제시, 통합 방어네트워크 실현
  • 2025년 DRX-1 ‘국가중점기술’ 선정, 국군 실전배치 착수
  • 사우디, UAE 탄도미사일 방어 채택 경험 활용, 중동·폴란드 수출 타깃

LIG넥스원

  • 레이더·전자광학/IR 센서+전자파 재머 복합장비
  • 레이더로 탐지→EO/IR로 식별→위치정보-지휘통제상황 전달→재머로 드론 임무마비
  • 2024년 ‘SMART JAMMER’, 시범부대 배치 성공
  • 국산화율 95% 이상, 소형화 설계·모바일 대응 솔루션 제공

현대로템

  • 무인전투차량+안티드론 무장 통합: 지상 로봇에 레이저/충격파 장비 탑재
  • 감시/차단/즉응패키지: 이동형 방어시스템(군사기지, 공항·발전소 방어)
  • AI 기반 자율주행 + 드론 식별·차단 원스톱 시스템

5. 안티드론 체계의 국제 시장 진출 전망과 전략

  • NATO·중동·유럽: 러-우전쟁, 하마스 사태 직후 각국 드론 방어 계약 폭증
  • 중동, 유럽, 동남아(폴란드, 인도네시아, 사우디 등) 맞춤형 장비 개발 진행 중
  • 기술 수출: ‘드론SaaS(Software as a Service)’ 모델로 소프트웨어·센서 데이터 수출 병행
  • 미국·이스라엘 대비 20~30% 저렴한 가격, 민간 보안(공항, 원전 등) 확대 적용

6. 단락별 핵심 근거 및 표 정리

기업 주요 솔루션 주력 시장 기술 특징
한화시스템 레이저+AI 지휘체계 토탈 솔루션 중동, 유럽 DRX-1 레이저, 실시간 지휘, AI 위협분석
LIG넥스원 레이더/EO+전자파 재머(소프트킬) 군·공공기관 SMART JAMMER, 모바일 배치, 국산화율 95%
현대로템 무인전투로봇+안티드론 패키지 산업·민간 AI 자율주행, 로봇과 드론 차단 통합

 

2025년 현재,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현대로템이 안티드론 체계 전략화에 집중하는 이유는

  • 전장이 ‘드론의 시대’로 재편되는 점,
  • 국방부의 드론봇 중심 미래전 전략 채택,
  • 국내외 시장의 고속 성장 및 실전 배치 필요성때문입니다.

‘드론 vs 안티드론’ 구도는 앞으로의 전장뿐 아니라

  • 민간 보안,
  • 원전·공항·공공시설 관리,
  • 중동·유럽 등 해외시장 전반으로 확장될 것입니다.

이와 같은 산업의 흐름과 변화 속에서 K-방산 3사는 단순한 OEM을 넘어, 통합 방어-제어 시스템, 데이터 기반 기술 수출, 글로벌 R&D 협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이 ‘드론 방어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지금, 방산기업과 정부, 스타트업, 연구소의 창의적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