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S 이야기/Open AI

중국의 제2도련선 전략, 역사적 배경 및 한반도 안보에 미치는 영향

by JS JEON 2025. 7. 1.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슈 전문 블로그 JS입니다.


오늘은 동아시아 해양 안보의 핵심 키워드로 떠오른 ‘제2도련선’의 의미와 역사적 배경, 그리고 이 전략이 한국과 한반도 안보에 미치는 영향까지 심층적으로 정리합니다.
실시간 국제 뉴스와 주요 연구, 그리고 최근 중국 해군력 증강 동향을 바탕으로 정리합니다.


1. 도련선(島鏈線, Island Chain)이란?

‘도련선’은 중국이 자국 해상 방어와 해군력 확대를 위해 설정한 가상의 해상 경계선입니다.
이 개념은 1982년 중국 해군사령관 류화칭 제독이 처음 제시했으며, 태평양의 섬들을 사슬처럼 이은 선이라는 뜻에서 ‘도련선’이라 불립니다.
중국은 도련선을 세 단계로 구분합니다.

  • 제1도련선: 일본 규슈~오키나와~대만~필리핀~말라카 해협을 잇는 중국 본토 근해 일대.
  • 제2도련선: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괌~사이판~파푸아뉴기니 등, 서태평양의 태평양 섬 지역.
  • 제3도련선: 알류샨열도~하와이~뉴질랜드까지 태평양 한가운데를 잇는 선.

2. 제2도련선의 역사적 배경과 전략적 의미

제2도련선은 1980년대 중국 해군 전략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했습니다.
중국은 2000년대부터 항공모함 전단과 해군력을 빠르게 증강하며,

  • 2000년대 제1도련선 돌파
  • 2020년대 제2도련선 진출
  • 2040년대 제3도련선까지 해군력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제2도련선은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괌~사이판~파푸아뉴기니 등 서태평양의 전략적 거점 섬들을 연결합니다.
이 선은 중국이 유사시 미국 해군의 서태평양 진입을 저지하고, 자국의 해상 영향력을 미국령 괌 등까지 확장하려는 해상방어선이자, 미국 입장에서는 중국 해군력 팽창을 저지하는 봉쇄선 역할을 합니다.

3. 제1도련선과 제2도련선의 차이

구분 제1도련선 제2도련선
위치 일본 규슈~오키나와~대만~필리핀~말라카 해협 오가사와라 제도~괌~사이판~파푸아뉴기니
전략적 의미 중국 근해 방어, 완충지대 확보 서태평양 진출, 미국 해군 접근 저지
주요 국가 일본, 대만, 필리핀, 말레이시아 일본, 미국(괌·사이판), 파푸아뉴기니
현재 상황 중국 해군력 증강으로 돌파 시도 활발 항공모함 전단 운용, 장기적 진출 목표

4. 제2도련선 전략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1) 미중 전략경쟁의 최전선
제2도련선은 미중 해양 패권 경쟁의 핵심 전장이자, 미국의 동맹국인 한국에 직접적 안보 영향을 미칩니다.
중국은 제2도련선 내에서 미 해군의 활동을 제한하고, 유사시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미군의 증원과 지원을 저지할 수 있습니다.

2) 한미동맹과 안보 정책의 변화
미국은 중국의 A2AD(반접근·지역거부) 전략에 대응해

  • 한미일 해군 협력
  • 사드(THAAD) 등 미사일 방어체계 강화
  • 한반도 주변 해상 훈련 확대등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3) 경제·해상 교통로 안전
제2도련선은 한국의 주요 해상 교통로와도 겹치므로, 중국의 해상 통제력 확대는 한국의 해상물류·에너지 수송에도 리스크를 높입니다.

5. 최근 동향과 전망

2025년 중국 항공모함 전단이 사상 처음 제2도련선을 넘어 훈련을 실시하며, 미국과 일본이 즉각 반발하는 등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항공모함 작전 능력 향상과 먼바다 해군력 투사를 통해 2040년대에는 태평양 전체에 영향력을 미치는 글로벌 해군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제2도련선 전략은 중국이 태평양 진출과 미국 견제를 위해 설정한 해상방어선으로, 동아시아와 한반도 안보 환경에 중대한 변화를 예고합니다.
한국은 미중 전략 경쟁의 한가운데에서

  • 해상 교통로 안전
  • 한미동맹 강화
  • 해군력 현대화등 다각도의 안보 전략이 요구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